얕게 알고, 오래 공부안해 잊어버린 내용을 재학습 하기로 했다.
OSI 7layer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 구조로,
7계층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6계층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5계층 세션계층(session layer)
4계층 전송계층(transfort layer)
3계층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1계층 물리계층(phisical layer)
으로 구성된다.
OSI모델은 이후 TCP/IP모델에게 밀려 현재 네트워크 통신에서는 TCP/IP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TCP/IP 5계층 모델은 처음 4계층 구성에서 5계층 구성으로 업데이트 되게 되어 현재는 (OSI의 응용, 표션, 세션 계층)을 하나로 합쳐 응용계층을 구성한 5계층 구조가 쓰이게 된다.
TCP/IP 5계층모델은 다음과 같다.
5계층 응용계층(application layer)
4계층 전송계층(transfort layer)
3계층 네트워크계층(network layer)
2계층 데이터링크 계층(datalink layer)
1계층 물리계층(phisical layer)
- 계층별 역할
1. 물리계층
0110 1000 같은 신호를 주파수를 통하여 전송하게 되는데(블록코딩, 회선코딩) 이를 인코딩하고 디코딩하여
전송받은 컴퓨터에서 정확한 비트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한다.
phy칩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2. 데이터링크 계층
여러대의 컴퓨터가 통신하려면, 비용의 문제로 하나의 연결 선으로 다른 많은 컴퓨터의 데이터를 보내게 될 때, 0100, 1111, 0110 같이 여러개의 신호가 동시에 전송될 경우 각 신호의 구분을 위해 0100 앞 뒤에 1111(시작) 0000(끝) 을 붙여 1111 0100 1111 이렇게 전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 회선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구분되게 해주는 것이 데이터 링크 계층이다.
랜카드에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3. 네트워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은 수많은 컴퓨터 중 목적지로 통신해나가기 위해 ip를 통하여 찾는 라우팅과 다음 라우팅에게 보내주는 포워딩을 한다.
운영체제 커널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4. 전송계층
최종 도착지인 프로세스까지 port번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도달하게 만드는 모듈
운영체제 커널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5. 응용계층
전송계층에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해서 통신하는 프로그램 즉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1pfTxp25MA8&t=205s
'Computer Science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밸런싱(L4, L7) (0) | 2022.03.25 |
---|---|
방화벽(인바운드, 아웃바운드) (0) | 2022.03.25 |
포트포워딩 (0) | 2022.03.08 |
소켓 통신(socket) (0) | 2022.03.03 |
댓글